“공공 교통수단을 자주 이용하는데, 어떻게 더 많은 돈을 절약할 수 있을까요?”
이 고민이 있다면 현재 가장 인기 있는 공공 교통수단 할인 카드인 K-Pass를 확인해 보세요.
2024년 5월 국토교통부에서 출시된 K-Pass는 공공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횟수에 따라 요금을 환급해주는 스마트 교통 카드입니다.
단계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K-패스(K-Pass)란?
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까지 요금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혜택이 이용 횟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거리와 관계없이 자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유리합니다.
적용 대상 교통수단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시내버스, 시골버스, 시외버스
- 지하철, 도시철도, 시외철도(GTX 및 신분당선 포함)
- 전국에서 이용 가능
- KTX, SRT, 시외버스, 고속도로 버스, 공항 버스는 제외됩니다.
K-패스 환급액(할인액) 및 자격기준(대상)
환급율은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따라 다릅니다:
- 일반 성인: 20%
- 청년(19~34세): 30%
- 저소득층: 53.3%
- 다자녀 가구(2025년 기준 2자녀: 30%, 3자녀 이상: 50%)
→ 자녀 수는 K-Pass 앱 또는 주민등록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됩니다.
월 15회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 환급이 적용되며, 최대 60회까지 환급이 가능합니다.
첫 달 신규 가입자는 월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부분 환급이 가능합니다.
만약한 달 동안 대중교통에 70,000원을 지출한 경우:
구분 | 환급율(%) | 환급액(원) |
일반 성인 | 20 | 14,000 |
청년 | 30 | 21,000 |
저소득층 | 53.3 | 37,310 |
다자녀(2명) | 30 | 21,000 |
다자녀(3명 이상) | 50 | 35,000 |
실제 평균 환급 금액은 약 18,000원이며, 월 평균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6.3회 증가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.
환급액은 결제 후 2~14일 이내에 K-Pass 앱에서 사용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환급은 사용 다음 달의 7번째 영업일에 카드사에 요청되지만, 실제 입금 또는 차감일은 카드사별로 다를 수 있습니다.
K-패스 가입 방법
1. 카드 선택
- K-Pass 인증 카드를 10개 카드사 중 하나(신한, 하나, 우리, 현대, 삼성, BC, KB 국민, NH 농협, DGB, 동우 조이 등)에서 발급받으세요.
- 2025년에는 롯데, 카카오뱅크, 네이버페이 등 5개 추가 카드사가 참여해 총 13개사로 확대됩니다.
2. 앱 등록
- K-Pass 앱 또는 웹사이트(korea-pass.kr)에서 가입하고,
- 카드를 등록하여 절차를 완료하세요!
- 이후 공공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 카드를 태그하면 자동으로 환급 대상이 됩니다.
3. 모바일 카드 사용
-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앱 내에서 선불 모바일 카드를 사용하거나 MobilePay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.
- 아이폰은 기본적으로 실물 카드를 사용합니다.
다른 카드 및 지역 시스템과의 비교
- 기후 동반자 카드 (서울): 월 62,000원 정액제, 서울 내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가능
- THE 경기 패스, 인천 I-패스: K-Pass와 유사하며, 월 15회 사용을 기준으로 환급됩니다
- 부산 동백 패스: 두 환급 금액 중 큰 금액이 적용됩니다
- 📝 K-Pass는 전국적으로 적용되며 이용 횟수에 따라 환급을 제공하므로 자주 여행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.